목차
리눅스/유닉스 rm 명령어 사용법 알아보기
rm 명령어는 remove의 약자로 파일 혹은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 이며,
옵션을 사용하여 디렉토리를 포함하여 삭제할수도 있습니다.
사용법
# rm [옵션] [삭제파일 or 삭제 디렉토리]
[ex1]
# rm file.txt
- file.txt 파일을 삭제한다.
[ex2]
# rm *.txt
'.txt'로 끝나는 파일을 모두 삭제한다.
[ex3]
# rm *
모든 파일을 삭제한다.
자주 사용하는 옵션
-f : 강제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하고 대상이 없는 경우에는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습니다.
-r : 디렉토리 내부의 모든 내용을 삭제합니다.
-d : 비어있는 디렉토리들만 제거
-i : 매번 삭제할때마다 사용자에게 삭제할것인지 묻습니다.
-l : 3개의 이상의 파일을 삭제하거나 디렉토리 내부가 비어있지 않을때만 삭제할것인지 묻습니다.
-v : 삭제되는 대상의 정보를 출력합니다.
# rm -rf [삭제파일 or 삭제 디렉토리]
가장 많이 사용되는 옵션이며, 위 옵션을 사용할 경우 삭제안내메세지가 나오지 않으므로 주위하셔야 됩니다.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유닉스/리눅스] find 명령어로 이름으로 찾기, 파일 사이즈로 찾기 알아보기 (0) | 2024.02.15 |
---|---|
오라클(oracle) 서버 재기동 알아보기 (0) | 2024.02.11 |
Toad AutoCommit 설정 방법 알아보기 (0) | 2024.02.10 |